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 📊

(504)
<카카오 종목분석> 거부할 수 없는 트래픽의 힘, 최고 수준 MAU 와 콘텐츠 역량의 시너지 카카오 MAU 4,441 만명으로 국내 메시징 앱 97% M/S 이자 전체 인구 침투율 85% 기록, 최근 2 년 간에도 4% 증가한 동사 MAU 는 Youtube, NAVER 에 비해서도 2 배 수준. 플랫폼 기업의 교과서적인 케이스인 동사는 톡비즈 플랫폼 연간 +41% yoy 성장과 더불어 카카오페이지로 대표되는 유료콘텐츠 +65% yoy 성장 전망. 신규 광고상품 비즈 보드 하반기 매출기여 450 억원 기대하는 한편, 이익기여 확대 중인 카카오페이지는 올해 연간 2,900 억원 거래액과 14% 수준 OPM 기대 가능, 전사 수익성 점진적 제고될 것. 거부할 수 없는 트래픽의 힘, 최고 수준 MAU 와 콘텐츠 역량의 시너지 동사 절대적 플랫폼 트래픽 기반, 신규 모델 비즈보드를 중심으로 한 향후 광고..
<텔레칩스 종목분석> 탐방 후기: 차량용 반도체 팹리스의 국내 선두주자 차량용 IVI(In-Vehicle Infotainment)반도체 설계 전문 팹리스기업 동사는 반도체 설계 전문 팹리스기업으로, 2007년부터 국내 완성차 업체에 오디오 프로세서 등을 공급해왔으며, 현재는 AVN(Audio Video Navigation)용 프로세서 등을 공급하고 있 음. 셋톱박스용 칩도 개발해 양산 중이나 매출비중은 미미한 수준임. 2019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비중은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서 89.6%, 모바일TV 수신칩 3.7%, 기타매출 6.7% 로 구성. 전방산업별로는 2019년 2분기 기준 완성차향 매출액이 약 96% 수준을 차지함 투자포인트 1) 차량용 AVN 프로세서 매출의 안정적인 성장 차량용 AVN 프로세서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동사의 외형성장이 지속되고 있음. 동사는 2..
<삼성엔지니어링 종목분석> 연말-연초 해외수주 본격화의 최대 수혜 - UAE CBDC 프로젝트 PAC 수령, 해외 추가손실 반영은 제한적 - 순현금(상반기 1,526억원)으로 전환돼 재무구조도 확연히 개선 - 내년부터는 수주가 급증했던 2017년 프로젝트들이 본격적으로 매출화되면서 수익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 - EPC 연계 FEED 수행 수주 결실 맺는 중 - 알제리 HMD: 본드 연장, 올해말-내년초 본계약 전망 - 말레이시아 메탄올: 현지 기공식 진행, 현재 FEED 중으로 EPC 확률 높아짐 - 미국 PTTGC: 대림산업 입장은 4분기 시공사 선정 - 사우디 자푸라, 우나이자 입찰 준비 중 - 연말-연초 경계에 놓인 파이프라인이 많아 연말부터는 수주 모멘텀 재가동 - 중동 산유국의 다운스트림 투자 확대 추세를 감안하면, 유리한 발주 환경이 내년에도 지속 장중에..
<삼성바이오로직스 종목분석> 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3 분기 흑자전환 전망 동사의 2019 년 3 분기 실적은 매출액 1,742 억원(+72.4%YoY), 영업이익 261 억원 (+149.7%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와 유사할 전망. 상반기에 정기보수 작업으로 부진했 던 공장 가동률이 상승하면서 전체 실적성장세를 견인하고 있음. 회계관련 이슈로 대표이 사 구속 등의 뉴스가 주가에는 부정적이나 실적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긍정적으로 판단,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00,000원을 유지함. 2019 년 3 분기 실적 Preview 동사의 2019 년 3 분기 실적은 매출액 1,742 억원(+72.4%YoY), 영업이익 261 억원 (+149.7%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와 유사할 전망. 상반기에 정기보수 작업으로 부진했던 공장 가동률이 상승하면서 전체 실적성장세를 견인하고 있음...
<덕산네오룩스 종목분석> 2020 년 다시 뛰기 시작한다 3Q19 매출액 266 억원, 영업이익 55 억원 전망 동사 3Q19 실적은 매출액 266 억원(YoY: +7%, QoQ: +17%), 영업이익 55 억원(YoY: - 27%, QoQ: +41%)으로 시장 Consensus(매출액 259 억원, 영업이익 64 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하면서 주요 업체들의 Flagship 스마트폰(iPhone, Galaxy Note) 신제품 출시 효과로 동사 HTL, Red prime 출하가 뚜렷하게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지난해 동 기간 영업이익률이 30.3%로 예년에 비해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나 주식보상 비용과 재고자산 평가손익 등 약 12 억원 가량의 일회성 이익 환입에 따른 기저 효과가 반영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전년 대비 자연..
<LG이노텍 종목분석> 2017년 Cycle 재현 멀티플 카메라 & ToF 3D 모듈 2019년과 2020년 영업이익은 각각 3,495억원(+33%, 이하 YoY), 4,614억 원(+32%)으로 전망한다. ① 가동률 상승으로 수익성 향상이 예상된다. 트리플 카메라 효과다. 카메라 모듈은 일반적으로 5%의 영업이익률이 기대되는 부품 군이다. 그러나 가동률 상승 구간에서는 이를 상회했다. 16년 4분기의 LG이노텍과 19년 상반기 삼성전자 카메라 협력사들의 실적에서 이를 확인했다. ② 3D ToF 카메라는 증강현실(AR) 구현을 위한 핵심 부품이다. AR은 2020 년 5G에서 가장 각광받을 기능으로 주목된다. LG이노텍의 ToF 매출은 2021 년에는 1.4조원으로 성장을 예상한다. 2020년: 2017년의 주가 상승 Cycle 재현 예상 2017년의 ..
<포스코케미칼 종목분석> 기대치는 낮추지만 성장성은 유효 3분기 실적은 2분기보다는 개선되긴 했지만 개선폭은 당사 예상보다 부진했습니다. 국내 Cell 업체들의 부진으로 음극재/양극재 매출 성장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기존 사업은 내화물/로재정비 수익성이 부진했으며 자회사 피엠씨텍도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었습니다. 올해 및 내년 실적에 대한 기대치는 낮추지만 3월이후 지속된 주가하락에 따른 valuation 부담완화와 올해말 ~ 내년초 음극재/양극재 증설로 내년부터 시작될 중장기 성장성을 감안시 4분기는 매수기회로 판단합니다. 3Q 실적은 QoQ 회복엔 성공했지만 기대치는 하회 연결 매출액은 3,717억원(+1%QoQ, +7%YoY)으로 키움증권 추정치 4,047 억원(컨센서스 3,981억원)을 하회했다. 국내 이차전지 셀(Cell)업체들의 생산 부진 여파로 음..
<서진시스템 종목분석> 5G에 이어 폴더블폰까지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1,000원 유지 - 목표주가 41,000원은 2019년 예상 EPS 4,076원에 Target PER 10배 적용 - 1) 국내 및 해외 5G 투자 Cycle 지속 기대, 2) 폴더블폰 출시, 판매 호조에 따른 수혜, 3) 2017년 이후 영업이익 증가율 연평균 105%의 압도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2019F PER은 6.6배로 현저한 저평가 상태. 하반기 실적 성장에 따른 주가 리레이팅 기대 3분기 폴더블폰 신규 매출 반영 예정 - 고객사 폴더블폰 메탈케이스, 힌지의 아노다이징(양극산화피막처리) 물량 대부분 처리 하는 것으로 추정. 메탈케이스 CNC 가공도 담당하는 것으로 파악. 8월부터 납품 시작 되며 3분기 신규 매출 발생 예정 - 3분기 핸드폰 부문 매출액은 173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