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 📊

(504)
<파인테크닉스 종목분석> 폴더블 내장힌지 제조 기업 정밀 금형 개발과 제조에 강점 2009년 01월 파인디앤씨(92년 화인테크로 설립)로부터 분사되어 03월 코스닥 시장 상장. 1H19기준 매출 비중은 LED조명 35.25%, IT부품 60.46%, 기타 4.29%. LED조명 사업부에서는 광학, 회로, 기구 등을 개발 및 제조 하고 있으며 IT부품 사업부는 메탈프레스, 플라스틱사출, 다이캐스팅, CNC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음. 동사는 2014~2016년까지 모바일 기기 메탈케이스 채용으로 인해 실적 성장을 보이다가 2017년 고객사 제품의 판매 및 수율 저조로 실적 악화. 2018년 인도 수출 대금 미회수로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며 2019년 연말까지 환입될 것. 폴더블 내장힌지 제조 기술 보유 동사는 폴더블폰 부품의 일종인 내장 힌지 제조 기술을 보유한 ..
<에치에프알 종목분석> 4분기 성수기 진입, 해외 모멘텀은 이미 시작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5,000원 유지 에치에프알에 대해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35,000원을 유지한다. 2019년 상반기는 국내 5G 투자 초기 단계로 프론트홀 장비 매출 증가를 통한 성장을 보였다. 하반기는 계절적 성수기를 맞아 매출 및 이익 확대가 기대되며, 해외 5G 개화를 앞두고 해외 법인 확대 등 발판 마련에 힘쓰고 있다. 에치에프알은 유무선 장비를 모두 취급하는 네트워크 장비사로 4분기는 계절적 성수기 및 해외매출 시작되는 시기로 매수 전략 유효하다. 3Q19 Review: 매출 462억, 영업이익 40억 시현 2019년 3분기 실적은 매출액 462억원(+52.7%, YoY)과 영업이익 40억원(흑전)을 시현했다. 상반기 국내 5G 상용화 시작으로 무선 부문 프론트홀 매출..
<일진머티리얼즈 종목분석> 생산량 지속 증가 불구 주가 부진, 매수 기회 3분기 동박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 컨센서스 하회한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주가 흐름은 다소 부진하나, 동박 생산량이 증가했다는 점과 전기차 배터리용 I2B 매출 크게 증가했다는 점 감안하면 매수기회라고 판단된다. 1) 사업보고서상 동박 생산량은 6,501톤(YoY +26%, QoQ +12%) 증가했다. 이는 신규 공장인 말레이시아 라인 가동률 상승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2) I2B 부문 매출은 3분기 781억원(YoY +37%, QoQ +30%)으로 생산량 증가 대비 더욱 가파른 증가폭을 나타냈다. 동박생산량에 ICS 부문 매출이 포함되어있음을 감안해도 하반기 ICS 부문 실적이 전분기 및 전년동기 대비 유사했던 것을 감안하면 하이엔드 동박 수요 증가 및 신규 고객사 비..
<심텍 종목분석> Big Cycle : 패키징 서브스트레이트 메모리용 패키징 서브스트레이트(기판) 대장주 PCB 공급사다. PCB 중에서도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 사용되는 서브스트레이트(패키징 섭셋)가 주력(매출 비중 72%) 사업이다. 심텍의 핵심 경쟁력은 ① 반도체 제조사들과 30년 이상 지속해 온 협력 관계와 ② 메모리 분야에 집중된 PCB 제조 기술 역량이라 판단한다. 2020년 패키징 섭셋 Big Cycle 2020년 실적 반등이 전망된다. 투자포인트는 ① 패키징 서브스트레이트 산업의 구조적 개선이다. 일부 제품군에서는 공급이 수요 증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공급 부족 가능성도 존재한다. ② 메모리 업황 반등 시 심텍의 실적 개선이 동반될 전망이다. DDR5 기술 도입은 성장 기회로 작용할 수 있 다. ③ 대규모 적자를 기록 중인 자회사의 턴어라운드 ..
<켐트로닉스 종목분석> 경이로운 3분기 영업이익 131억원, 더욱 기대되는 2020년! 케미칼, 식각, 전자부품, 무선충전, 자율주행 모든 사업 활황 켐트로닉스는 케미칼, 디스플레이 식각, 전자부품, 무선충전, 자율주행 사업을 영위하 고 있다.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만큼 2020년 각 사업부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모멘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 케미칼 회사 성장의 뿌리로 1983년 공업용 케미칼 유통업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 전자용 케미칼에 진출했다. 특히, EEP(반도체 세정제), BDG(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 부분에 서는 국내 점유율 1위로 안정적인 시장지배력을 확보하고 있다. 2006년에는 자체적인 전자재료연구소 설립으로 고부가가치 아이템 개발을 시작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그 성과로 2020년 자체 첫 번째 브랜드 출시 를 계..
<에이스토리 종목분석> 올해보다는 내년이 기대되는 사업자 3Q19 별도 영업손실은 2억원 예상 3Q19 별도 매출액은 41억원, 영업손실은 2억원을 전망한다. 지난 보고서에서의 추정과 유사하다. 2018년 분기 실적은 자료가 없는 관계로 당사가 자체 추정했다. 2019년 하반기 내내 수익성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3Q의 경우 킹덤 시즌 2 관련 제작이 유일한 수익 인식 항목이다. 시즌 1 대비 수익성(제작비 대비 이익률)이 높지만 공정률에 따라 실적에 반영된다. 4Q의 경우 ‘하자있는 인간들’ 편성이 11월에 시작되지만 아직 세부 내용은 지상파와 협의 중이다. 2019년 별도 매출액은 346억원(-25.6%), 영업이익은 16억원(+33.5%)으로 추정된다. 향후 작품 협상 여부에 따라 추가적으로 변동될 가능성도 높다. 잠재력은 풍부하지만 시간이 필요하다 넷..
<화승엔터프라이즈 종목분석> 실적 모멘텀 이제부터 본격 시작 화승엔터프라이즈의 3 분기 실적은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전분기 대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경쟁사 생산 물량의 효과가 예상보다도 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3 분기에 이어 극성수기에 해당하는 4 분기에 실적 모멘텀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3Q19 Preview: 예상보다도 좋을 것으로 기대 화승엔터프라이즈 3Q19 연결 기준 매출액 2,995억원(+33.5%, 이하 yoy 기준 동일), 영업이익 206억원(+164.1%)으로 기존 추정치를 상회 하는 호실적을 전망한다. 이유는 최근 생산이 중단된 경쟁사의 물량이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기존 3분기는 비수기로 실적이 전분기 대비 감소했으나, 이번 분기에는 경쟁사 생산물량 증가로 전분기 대비 성장하는 모습이..
<F&F 종목분석> 3분기 강한 실적 모멘텀, 4분기에 더 강해진다 - 다수의 증권사 리포트가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120,000원(12개월 Forward P/E 16배)을 유지 - 의류, 모자에 이어 신발 매출이 실적 개선에 크게 기여 - Tmall 매출도 9월 들어 큰 폭의 증가 추세를 보이는 등 향후 중국 사업 실적 반영으로 긍정적인 주가 흐름 전망 3Q19 Preview: 기저부담 거뜬히 넘어서는 매우 양호한 실적 예상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컨센서스 : 각각 1,770억원(+27%, yoy), 248억원(+44%, yoy)으로 추정. [디스커버리 : 의류, 신발] - 매출성장률 +11% 예상, 3분기 신발 판매량은 3만-4만 켤레로 추정(대략 1Q 2만, 2Q 5만 켤레). - 9월 F/W 신상품 판매를 앞두고 3분기 신발 판매는 2 분기 보다 주춤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