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변화 요인
미 증시는 지난 금요일 급등 이후 차익 매물이 출회되고, 15 일 부과 예정인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를 앞둔 경계감이
이어지면서 소폭 하락 마감함.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과 대화가 잘 진행되고 있다는 발언과 중국이 미국산 대두를
추가 구매했다는 등 긍정적인 소식들이 전해졌으나 전 거래일 지수 급등 이후 추가 상승은 부담스러운 모습을
보임(S&P500 -0.32%, 다우 -0.38%, 나스닥 -0.40%, 러셀 2000 -0.26%)
미국 증시는 소폭 하락 출발 이후 전반적으로 개별 종목 이슈들에 따라 움직이는 흐름을 보임.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여전히 미국의 추가 관세 여부에 대해 보다 주목하고 있으며 관련한 명확한 일정이나 합의가 부재하면서 관망세를
보임. 하지만 양측이 합의 의지를 표명하는 소식은 계속 이어짐. 이날 중국 상무부 런 차관보가 기자회견에서 “미국과
중국이 만족시킬 합의를 최대한 빨리 달성하기 원한다”라고 언급. 또한 로이터가 중국이 지난주 미국산 농산물 및
돼지고기 등 품목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발표 이후 대두를 추가적으로 30 만톤 구입했다고 보도함.
한편, 이날 발표된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2020 년 상반기 경제전망 서베이는 최근 고용보고서 호조와 더불어 미국
경기 둔화 우려감을 완화시키는 데에 기여했음. 서베이 결과, 2020 년에 개인소비와 기업투자 둔화로 미국의 경제
성장률은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나 전체적으로 양호할 것이라고 전망(‘19 년 2.3%, ‘20 년 1.8%). 또한 하방
리스크가 상방보다 더 크다는 결과는 10 월 서베이와 동일했으나 그 비중이 81%에서 71%로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NABE 패널들의 전망이 좀 더 낙관적으로 변화했음을 시사함.
한국 증시 전망
MSCI 한국 지수 ETF 와 MSCI 신흥지수 ETF 는 각각 0.74%, 0.37% 하락함. 야간선물은 외국인의 순매도(249 계약)
부담으로 0.75pt 하락 마감. NDF 달러/원 환율 1 개월물은 1,189.65 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전일 대비
보합권에서 출발할 것으로 예상. 간밤 미국 증시는 고용보고서 서프라이즈에 대한 소화 매물과 추가관세 불확실성으로
소폭 하락 마감. 무역 관련 불확실성은 국내 증시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중국과 무역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추가 관세 연기에 대한 기대감을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추가적으로 이번 주
FOMC, ECB 회의, 영국 총선 등 빅이벤트들이 대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짙을 것으로 예상.
주식 투자정보
증권가 찌라시
알아야할 모든 소식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여의도정보통
💯여의도정보통📈
🔺실시간 증권가 투자정보 찌라시🔺
t.me
'주식투자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노메트리 종목분석> 실적 고성장 구간 (0) | 2019.12.10 |
---|---|
<메드팩토 종목분석> IPO 예정 (0) | 2019.12.10 |
<해성디에스 종목분석> 비수기에도 양호한 실적 (0) | 2019.12.10 |
<젬백스 종목분석> 임상 2상 대성공, 기존 치료제 대비 월등한 효과 입증 (0) | 2019.12.09 |
<12/09 일간증시전망> 주말에 있었던 일: 고용보고서, 무역협상 등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