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18)
<상아프론테크> 2Q19 Review: 소재 국산화 물결에 동참! #상아프론테크 ● 2차전지 Cap Assembly의 매출이 ESS매출 둔화 영향으로 감소하였으나, LCD카세트 매출 성장이 상쇄 ● 동사는 불소수지 기술을 기반으로 소재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업체. 가장 고난이 도의 멤브레인 기술 국산화를 추진 중. 3Q19부터 필터매출의 확대에 따라 믹스향상 전망. ● 2차전지 관련매출은 글로벌 완성차의 전기차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 및 출시일정을 감안 할 때 늦어도 4Q19에는 회복이 예상되며, 고부가가치의 멤브레인 매출이 2020년에는 시 작될 전망. BUY의견 유지. 2Q19, 실적 호조 지속: 매출액 513억원(+0.6%QoQ, +21.4%YoY) 및 영업이익 49억원 (-6.8%QoQ, +91.4%YoY)으로 영업이익률 9.7% 기록. LCD카세트매출이 ..
<NAVER> 네이버페이 물적분할 결정 #NAVER 네이버페이의 물적분할 - 네이버는 7월 24일 간편결제업을 영위하는 네이버페이를 물적분할하기로 결정 - 네이버페이의 서비스 사업부문인 전자지급결제대행업,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 및 관리업, 결제대금예치업 등의 사업부를 분할할 예정 - 신설회사의 회사명은 네이버파이낸셜(가칭)으로 결정될 전망 - 전략적파트너인 미래에셋이 약 5,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예정(정확한 투자금액과 투자 시기는 미정) - 분할기일은 11월 1일로 예정되어 있음 네이버가 지닌 경쟁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로 해석 - 알리바바와 텐센트, 카카오 등 타 기업들의 사례를 볼 때 핀테크에서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요인은 소비자들에게 접근성이 높은 플랫폼의 보유여부(메신저, 간 편결제앱 등)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더블유게임즈> 안정적인 성장의 지속과 하반기에 대한 기대 #더블유게임즈 2분기 편안한 실적개선 더블유게임즈의 2분기 매출은 예상을 소폭 하회하는 수준이었으나 마 케팅효율성 제고와 더불어 영업이익은 예상을 상회했다. 안정적인 성장 이 지속되고 있고, 하반기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는 점에서 투자심 리는 개선될 전망이다. 매출은 1,299억원으로 전분기대비 3.3%, 전년동 기대비 9.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각각 7.2%, 16.9% 개선되었다. 주 력게임인 “더블유카지노(DUC)”와, “더블다운카지노(DDC)”가 전년대비 각각 7.2%, 10.1% 성장하며 실적을 견인했고, 포트녹스 등 기타게임의 매출도 전년대비 17.7%, 전분기대비 7.4% 증가하며 실적개선에 기여했 다. 마케팅효율성 제고는 지속되고 있다. 상반기 기준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9.9% 증..
<삼성에스디에스> 무난하고 무난하다 #삼성에스디에스 News 예상 수준에 부합: 삼성SDS는 2Q19 매출액 2조 7,761억원(+12.3%YoY, +10.9%QoQ), 영업이익 2,587억원(+8.9%YoY, +30.3%QoQ)을 기록하였다. 이는 우리 추정치 매출액 2조 7,253억원, 영업 이익 2,403억원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Comment 클라우드&ITO, 물류 선방: IT서비스 부문에서 4대 전략 사업과 대외사업 매출 증가가 양호한 실적을 이끌었다. 클라우드, 솔루션, AI/Analytics, 스마트팩토리 4대 전략사업은 2Q19 5,350억원의 매출액을 올려 IT서비스 부문 내 매출 비중이 34%에 달했다. 이는 수익성도 좋아 영업이익률도 2% 포인트 개선시켰다. 물류 BPO 영업이익률은 1.1%로 소폭 개선되었다. 무난한 ..
<LG화학> 일회성으로 얼룩진 상반기는 지나갔다 #LG화학 설비보수 및 전지부문 비용 증가로 컨센서스 하회 설비보수 상반기에 완료, 수율 개선으로 전지부문 또한 하반기 개선 전망 개선될 하반기와 자동차 전지 매출액이 급격하게 증가할 2020년에 집중할 시기 Facts : 설비보수 및 전지부문 비용 증가로 실적 악화 영업이익은 전분기대비 3%, 전년동기대비 62% 감소한 2,675억원으로 컨센서스 를 27%, 당사 추정치를 35% 하회했다. 석유화학 설비보수 및 전지부문의 비용증 가가 하회요인이다. 두 부문에서 총 1,800억원의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다. 순이익 또한 법인세율이 57%로 상승하며 추정치를 큰 폭으로 하회했다. Pros & cons : 더딘 수율 개선으로 전지부문 적자 지속 전지부문 영업적자는 1,280억원으로 추정치를 1,127억원 하회..
<삼성물산> 2Q19 Review: 컨센서스 하회. 불확실성 해소가 관건 #삼성물산 2Q 영업익 2,207억원(YoY -41.6%) 컨센서스 하회 2분기 영업익은 2,207억원(YoY -41.6%)으로 컨센서스를 하 회했다. 이익의 대부분을 설명하는 건설 부문이 1분기 대비 개선되었으나 홍콩 지하철 및 호주 도로 프로젝트 관련 400 억원대 비용 반영으로 전년 대비 감익 기조를 이어갔다. 상반 기 수주는 2.5조원으로 연간 11.7조원 수주 목표 대비 부진 한 상황이나 하반기 하이테크 수주 증가(상반기 1.5조원, 연 간 4조원 예상), 입찰 결과를 대기 중인 빌딩/ 인프라/ 플랜 트 프로젝트 규모를 감안시 상반기 대비 하반기 수주 속도는 빨라질 것으로 예상한다. ‘16년 이후 낮아진 건설부문의 신규 수주 금액, 매크로에 연동되는 상사부문의 사업구조, 실적 기 여도가 낮은 패..
<GKL> 하반기 실적 안정화 스토리 유효 #GKL 프로모션 안정화 기조 유지: 동사는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진행한 공격적인 프로모션에 힘입어 드랍액이 크케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프리칩 매출차감, 홀드율 저하, 판매촉진비 등 비용 증가의 영향으로 실적은 오히려 부진했다. 3월부터 프로모션의 강도가 조정되어 2분기 드랍액은 전년동기대비 29% 증가했고 홀드율은 10.8% 수준으로 직전 2개분기보다 개선되었다. 하반기에도 드랍액 성장과 더불어 홀드율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비용도 안정화 구간 진입: 동사의 2분기 영업이익은 250억원(-28%YoY)으로 컨센서스를 약 6%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3% 증가했음에도 수익성이 저하된 이유는 카지노 테이블 가동률 상승을 위해 작년 1..
<기업은행> 질적 성장에 따른 양호한 실적 #기업은행 2Q19 preview: 순이익 4,501억원 추정 기업은행의 2Q19 순이익은 4,501억원(+6.8% YoY, -18.7% QoQ)으로 시장 컨센서스(블룸 버그 4,482억원, 에프앤가이드 4,409억원)를 소폭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으로 추정된다. 대규모 일회성 요인은 없었던 것으로 판단하며, 계절성 비용인 초과업적성과급 약 800억원이 인식된 것으로 추정된다. 총대출은 전분기 대비 2.1%(전년말 대비 5.4%), 그 중 중소기업대출은 전분기 대비 2.4%(전 년말 대비 5.0%) 증가하고, NIM은 1.89%로 전분기 대비 1bp 축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순 이자이익은 1조4,437억원(+3.0% YoY, +2.6% QoQ), 순수수료이익은 1,192억원(-6.9% YoY, +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