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중에는 텔레그램에서 실시간으로 투자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주식시황과 투자속보, 찌라시 등
주식투자에 필요한 투자정보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여의도정보통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국내 Tech, 대응 전략은
미중 무역 분쟁을 시작으로 Huawei 제재, 일본의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 규제까지 국내 Tech가 웃다가 울다가를 반복하고 있다.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만큼 어떠한 이슈도 단기간에 완전히 해소되기 어렵다라고 보면 하반기 Tech Indusrty 수요도 약하다는 점은 확실해 보인다. 단기는 상황 변화에 따라 시나리오별 수혜 진영을 파악하여 shift하는 대응이 필요하다. 중장기는 5G, AI 등 필연적인 산업의 방향성에 기반을 둔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기본 가정은 미국의 Huawei 제재 유지와 일본 수출 규제 완화
Huawei에 대한 제재가 완전히 철회된다면 중국 정부가 5G, AI부터 6G까지 기술 패권을 선점하는 그림으로 전개된다. 미국이 쉽사리 Huawei 제재를 풀 수 없는 이유도 이때문이다. 일본의 핵심 소재 수출 규제가 금지까지 간다면 국내는 물론 글로벌 Tech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 반도체의 일부 chain 은 독점으로 바뀌고 가격 상승, 산업의 진화 둔화 등 부정적 여파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일본이 규제는 하되 수출 금지까지 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2019년 3.15억대, 2020년 3.45억대로 우뚝
위 시나리오대로라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이 독보적인 시장 1위로 올라서는 데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특히 중저가 라인업 매출 비중이 높은 업체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최근 Tech 변동성 확대로 조정을 겪고 있지만 산업 센트먼트 회복 시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보일 수 있다고 판단한다. 관련 업체로 #대덕전자를 최선호 하며 #파트론, #엠씨넥스, #와이솔을 관심 종목으로 제시한다.
Tech 투자 전략: 단기는 시나리오별로 대응, 중장기는 필연적인 방향성에 베팅
시장에서 노이즈가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투자 전략을 짜기가 쉽지는 않은 상황이 다. 일단, 단기는 상황 변화에 따라 시나리오별 종목군을 shift 하는 대응이 필요하다. Huawei 제재/무역 분쟁 제재 유지는 국내 모바일/통신장비 positive, Apple/국내 메모리 negative 이다. 일본의 핵심 소재 수출 규제 완화는 해외 메모리 /반도체 소재 positive, 국내 메모리/비메모리 negative이다.
중장기 투자 전략은 산업 변화의 필연적인 방향성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5G, AI 등 이 그렇다. 미국이 Huawei 제재를 완전히 풀어주지 못할 거라고 보는 이유도 이 때문 이다. 풀어주게 되면 5G 부터 AI, 6G까지 중국 정부가 Huawei 를 통해 기술 패권을 선점하는 그림으로 간다. 그렇다면 Huawei 제재는 지속되고 삼성전자 모바일/통신장 비 수혜는 중장기적으로 확실하다. 미국에 있는 핵심 부품 업체 역시 단기 실적 타격은 불가피하지만 중장기적인 매력도는 상당히 높다. 일본의 핵심 소재 수출 규제도 국내 Tech 타격이 가장 크겠지만 전체 Industry 에 미치는 파장도 상당하기 때문에 규제는 완화(제재는 풀지 않되 핵심 품목 수출 허가)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비메모리, IT H/W에 대한 중장기 센티먼트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
6월까지 상대적으로 견조했던 국내 Tech, 쉽지 않을 3분기
앞선 주요 데이터 지표와는 다르게 국내 Tech 업종의 주가지수는 19 년 1 월 이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Huawei 이슈 본격적으로 터진 5 월부터 주요 글로벌 Tech 업 체의 주가는 크게 하락한 반면, 국내 Tech 업체 주가는 상대적으로 견조했다. 업황이 부진함에도 한국이 반사 수혜를 본다는 시장에서의 시각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6 월을 지나면서 국내 모바일향 반사 수혜 효과가 데이터로 확인되고 있다. 5G 기지국 설치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반기에는 모바일과 통신장비 관련 업체 실적에는 온기가 반영될 전망이다.
그러나 주가 측면에서는 하반기에 조금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Huawei 이슈, 일본 소재 규제에 따라 국내 Tech 센티먼트가 좋은 상황은 아니기 때문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가 안되는 상황에서 IT H/W 주가가 강하게 반응하기 쉽지 않다. 다만, 우리의 기본 가정이 Huawei 제재 유지와 일본 규제 완화인 만큼 모바일, 통신장비, 반도체까지 점진적으로 나아지는 그림은 유효하다. 단기 전략은 시나리오별로 빠른 Shift 를 통한 대응, 중장기적으로는 삼성전자 모바일 및 통신장비 chain 에 대한 지속적인 매수 관점이 필요하다.
'주식투자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035720) 카카오(035720 / 주식투자 핀테크 인터넷 관련주 (0) | 2019.07.11 |
---|---|
총정리: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제재 (0) | 2019.07.10 |
일본의 대 한국 수출규제, 쓰리 쿠션 충격 / 주식투자 시황분석 (0) | 2019.07.09 |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부활 / 주식투자 ESS 전기차 베터리 2차전지 관련주 (0) | 2019.07.04 |
#하나제약 (293480) 실적 좋고, 신규마취제 모멘텀은 더 좋고! / 주식투자 제약바이오 프로포폴 관련주 (0) | 2019.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