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 📊

셀리버리 주가, 싸이토카인 폭풍 잡고 글로벌 파트너링 간다

 

 

 

http://bit.ly/YIDINFORMAITON

 

💯여의도정보통📈

🔺실시간 증권가 투자정보 찌라시🔺

t.me

 

임상 개시와 SCI급 논문으로 레벨업 준비중

셀리버리는 최근 자체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염증성 싸이토카인 억제제 iCP-NI의 글로벌 임상 착수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회사는 올해 안에 한국 식약처와 미국 FDA에 임상 1상 개시를 목표입니다. 회사 내 인력 재배치를 비롯해 CMO 생산, 독성 평가, PK/PD 연구 등 다수의 작업을 빠르게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iCP-NI의 임상개시는 연내 가능할 것입니다. 또한 회사는 3월 30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빠른 시일 내에 SCI급 논문을 게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학술지의 비공개정책으로 인해 내용을 확인할 수는 없으나 주요 학술지 논문게재는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거치기 때 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이나 시장에서의 인지도는 더욱 좋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찌라시, 속보, 꼭 봐야하는 뉴스 등 내가  찾는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

 

싸이토카인 억제가 코로나의 해결사가 될 수 있을까?

싸이토카인은 바이러스를 만난 면역세포가 발현하는 단백질의 일종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싸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조직까지 공격해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일명 싸이토카인 폭풍은 중증 패혈증을 비롯해 스페인 독감, SARS와 같은 급성 호흡기 질환의 사망원인으로 지목되어왔습니다. 최근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환자들을 분석한 논문에서도 이러한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염증성 표지인 자(IL-6, C-reactive Protein)와 싸이토카인 폭풍에 의한 2차 감염비율이 완치자에 비해 사망자들에게서 훨씬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거를 토대로 3월 5일 Roche의 자가 면역질환 치료제 Actemra는 중국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한시적 사용승인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재 실질적으로 Actemra가 효능이 있는지를 증명하는 중국 내 연구자 주도 임상이 진행 중이며 5월에 임상결과가 발표될 예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싸이토카인 억제제의 코로나19 치료효과를 확인하고 패혈증이나 급성 호흡기 질환을 적응증으로 준비 중인 iCP-NI의 임상적 가치도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찌라시, 속보, 꼭 봐야하는 뉴스 등 내가  찾는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

 

주가는 플랫폼의 가치 대비 여전히 저평가

셀리버리의 기업가치는 플랫폼의 잠재력에 비해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다는 판단합니다. 파트너링 후보사인 Takeda의 과거 계약 규모나 셀리버리가 개발중인 적응증의 시장 규모 등을 고려할 때 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경우 계약 규모는 최소 5억에서 1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체 파이프라인의 임상진입 과 SCI급 논문게재는 기업가치 레벨업은 물론이고 향후 있을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수출 협상에서 회사에 보다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찌라시, 속보, 꼭 봐야하는 뉴스 등 내가  찾는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

 

코로나19로 또 한번 부각되는 차별점

iCP-NI의 차별점은 TSDT 플랫폼이 가진 세포투과능력에 있습니다. Actemra와 같은 표적치료제는 염증성 싸이토카인 중 하나인 IL-6를 타깃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수많은 싸이토카인 단백질이 세포 밖으로 발현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싸이토카인만 타깃해서는 효과가 적을 수 있는 것입니다. 한편 iCP-NI는 약리물 질이 세포 안으로 이동해 싸이토카인이 만들어지는 과정 자체를 차단해버리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이론적인 추론이지만 최근 코로나19 효능평가 계약을 맺은 Southern Research의 동물임상 데이터를 통해 실질적인 효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회사가 가진 약물전달 기술과 플랫 폼의 확장성이 한층 더 부각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현재 셀리버리는 TSDT 플랫 폼을 활용한 약 240개의 약리물질 전송도메인(aMTD, 통칭 CPP)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에도 다양한 약물을 시의 적절하게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찌라시, 속보, 꼭 봐야하는 뉴스 등 내가  찾는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

 

찌라시, 속보, 꼭 봐야하는 뉴스 등 내가  찾는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

http://bit.ly/YIDINFORMAITON

 

💯여의도정보통📈

🔺실시간 증권가 투자정보 찌라시🔺

t.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