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비메모리 반도체 투자에 이어 정부도 시스템반도체 산업에 대한 육성 전략을 발표하며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서는 세계 1위의 독보적 지위를 보유하고 있지만,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우에 는 미국에 한참 뒤쳐져 있으며, 관련 업체들은 아직 영세한 업체들이 대부분이다. 이번 삼성전자와 정부의 투자 확대로 국내 비메 모리 반도체 산업에도 본격적인 성장이 시작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투자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메모리 지원 및 투자 확대
삼성전자와 정부가 비메모리 반도체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이유 는 반도체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때문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하며 초미세 공정의 경쟁이 경제성의 측면에서 한계에 도달
5G, IoT, AI, 자율주행차 등으로 인해 반도체의 수요처는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런 흐름 속에서 메모리 반도체 하나만 으로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
특정 수요를 위한 맞춤형 설계 및 생산 능력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으로 부각되고 있어 비메모리 반도체의 중요성이 부각
정부의‘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주요 내용
비전
메모리 반도체 강국에서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
목표
팹리스 시장 점유율 : (18) 1.6% → (22) 3.0% → (30) 10%
파운드리 시장점유율 : (18) 16% → (22) 20% → (30) 35%
시스템반도체 고용 : (18) 3.3만명 → (22) 4만명 → (30) 6만명
추진전략
(팹리스) 수요, 자금, 인력, 기술 등 성장 생태계를 긴 안목으로 조성
(파운드리) 메모리 경쟁력을 바탕으로 단기간 내 세계 선두로 도약
추진과제
(팹리스) 수요 창출 및 성장 단계별 지원 강화 : 5대분야 ∙ 공공수요 연계, 창업-설계-시제품 등 성장 단계별 지원체계 구축
(파운드리) 첨단, 틈새시장 동시공략으로 세계 1위 도약 : 민간의 투자 지원, 중견 파운드리 역량 강화 등
(상생협력)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 : 파운드리 공정 ∙ 기술 개방 확대, 디자인하우스 육성 등
(인력) 민, 관 합동 대규모 인력 양성 ('30년까지 1.7만명 규모) : 계약학과 신설, R&D와 연계한 석박사 인력양성 등
(기술)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 확보 : 자동차, 바이오, 인공지능(AI) 등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개발(1조원 규모)
메모리보다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 내에서 메모리 반도체는 약 33.7%를 차지하고 있지만,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약 66.3%를 차지
반도체 업황의 전반적인 둔화에 따라 반도체 전체 시장규모는 올해 소폭 축소될 것으로 예상
세계반도체협회 전망치에 따르면 2019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이 약 30.6% 감소하는데 비해,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규모의 축소는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크지 않으며, 변동성이 낮은 편
비메모리 반도체 중 시스템반도체는 미래유망 산업 및 서비스 창출의 핵심 부품으로써, 다양한 산업들의 경쟁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대단히 높은 분야
시스템 반도체, 4차산업혁명에 따라 사물인터넷, 스마트카, 웨 어러블 디바이스 등 ICT 융합기술이 본격화되면서, 소프트웨 어가 융합된 지능형 반도체로 고도화
새로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수요는 후발 주자인 우리 기업들의 돌파구가 될 것
글로벌 비메모리 시장의 60.1%는 미국이 차지
최근 한국뿐만 아니라 각국 정부들의 비메모리 투자 경쟁도 확대
1위 미국의 경우 기초연구와 기술보호 등으로 민간 기업을 지원, 중국의 경우에는 ‘반도체굴기’를 통해 메모리 반도체와 비 메모리 반도체를 동시에 육성
파운드리 1위업체 TSMC가 있는 대만의 경우에는 팹리스기업과 파운드리 기업의 유기적 협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팹리스 업 체들이 빠르게 증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제조 전문 기업)은 현재 대만의 TSMC가 세계 시장의 과반을 점유
한국의 경우에는 삼성전자가 2018년 기준 14.9%로 세계 2 위의 수준까지 올랐으나, 아직 TSMC에 비해서는 격차가 상당한 것이 현실
중국업체도 빠르게 성장 중. SMIC, Huahong Group 등 중국 파운드리 업체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는 추세
팹리스는 Qualcomn, Broadcom, Nvidia 등의 기업을 앞세운 미국이 압도적 1위를 차지
한국은 대만, 유럽뿐 아니라 중국에 비해서도 뒤처지고 있음
세계 팹리스 기업 순위 50위 중 한국 기업은 실리콘웍스 하나 에 불과할 정도로 규모가 영세한 것이 한국 팹리스 기업의 현실
글로벌 팹리스 시장에서는 최근 우수한 인재가 풍부한 중국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국내 주요 팹리스 기업은 전방산업의 수요 확대로 실적 개선
현재 국내 팹리스업체들의 주력 품목은 DDI, CIS, AF Driver IC, PMIC, 모바일 멀티미디어 IC 등 소수에 불과한 상황
1) 우수한 인력을 기반으로 꾸준한 신제품 개발의 지속성을 보 유하고 있는 기업,
2) 국내외 주요 고객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한 기업,
3) 전방시장의 변화에 따라 우수한 기술력 및 생산 Capa를 통 한 대응력을 보유한 기업에 주목해야 함
관련주 정리
동운아나텍(094170.KQ): NR
투자포인트: 스마트폰 중심에서 기기 확대 및 사업 영역 확대
2Q19 Preview: 매출액 +29.2%yoy, 영업이익 7분기만에 흑자전환 전망
국내 및 중국 등의 실적 성장에 기인, Valuation 매력 보유
칩스앤미디어(094360.KQ): NR
투자포인트: 국내 유일 반도체 IP 보유업체로 사업영역 지속 확대 중임
2Q19 Preview: 매출액 +14.4%yoy, 영업이익은 +121.5%yoy. 실적 회복 전망
안정적인 실적 회복세로 전환, 비메모리 투자 확대에 따른 관심 확대 수혜
에이디테크놀로지(200710.KQ): NR
투자포인트: 비메모리 반도체 양산 확대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
2019년 예상실적: 매출액 +35.5%yoy, 영업이익 +11.5%yoy. 실적 성장 전망
2019년 기준 PER 9.4배로 국내 유사업체 대비 저평가
장중에는 텔레그램을 통해
투자정보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실시간으로 투자 도움이 되는 정보들과 찌라시를 올려드리고 있어
투자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여의도정보통
💯여의도정보통📈
🔺실시간 증권가 투자정보 찌라시🔺
t.me
'주식투자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경제 어디로 가는가? (0) | 2019.06.18 |
---|---|
#NHN 한국사이버결제 (060250) O2O 사업 가속화로 이제 오프라인도 내가 접수한다 (0) | 2019.06.18 |
#엔씨소프트 (036570) 멈춰버린 성장 / 목표가 하향 리포트 (0) | 2019.06.18 |
6월 3주 주식시장 정리 / 6월 4주 주식시장 전망 (0) | 2019.06.14 |
영국 탄소배출 제로 선언!! #재생에너지 #전기차 #2차전지 수혜 예상 (0) | 2019.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