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 📊

<2019년 9월 26일 KIWOOM DAILY> 미 증시, 탄핵 이슈 완화 속 상승폭 확대

 

#주식투자 #종목분석 #관련주 #투자정보

 

종목에 대한

더 자세한 투자정보

여의도정보통을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무료로 신속하고 핵심적인 투자정보를 제공해드립니다

 

실시간 찌라시도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1600명이 구독하는

미치도록 빠른 투자정보

#여의도정보통

http://bit.ly/2K5Ao4j

 

💯여의도정보통📈

🔺실시간 증권가 투자정보 찌라시🔺

t.me

 

 

트럼프, “생각 보다 빠른 시일안에 중국과 합의할 수 있다”

미 증시 변화 요인: 탄핵 이슈에서 무역협상으로

 

미 증시는 트럼프 탄핵 정국속 보합 출발. 특히 녹취록 공개 직전 정치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낙폭이 확대되기도 했음. 그러나 녹취록 안에 결정적인 내용이 없다고 알려지자 반등에 성공. 특히 양호한 주택지표 결과와 트럼프가 중국과 무역합의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 될 수 있다고 주장하자 상승폭 확대. 반도체, 산업재, 금융주 등이 상승을 주도(다우+0.61%, 나스닥 +1.05%, S&P500 +0.62%, 러셀 2000 +1.11%)

 

트럼프와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전화 녹취록이 오전 10 시에 공개됨. 시장에서는 탄핵 이슈로 인해 정치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되며 녹취록 공개 직전까지 매물이 출회되며 낙폭을 확대. 특히 탄핵 이슈가 높아지면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 정부가 합의에 적극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 점도 부담. 그러나 녹취록이 공개된 이후 낙폭이 축소되었음. 특히 트럼프가 법무부장관과 개인 변호사가 연락을 할 것이며 바이든 부자에 대한 수사 압박이 일부 드러났지만, 조사요청과 군사원조가 연계된 명시적 부분이 없었기 때문에 탄핵 이슈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점이 부각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한편,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트럼프의 압박을 부인하는 발표를 했으며, 미국 법무부 또한 관련 통화 내용을

수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점도 긍정적인 영향. 다만, 탄핵안이 하원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과반수인 218 석을

넘어야 하는데, 민주당(235 석) 의원들 중 216 이 찬성하고 있어 하원 통과가능성이 높아진 점은 부담.

 

이런 가운데 트럼프가 “중국과 무역협상은 당신이 생각한 것보다 빠른 시일 안에 타결 될 수 있다” 라고 발표. 이는 시장의 시선을 탄핵에서 무역협상으로 돌렸고, 탄핵이슈가 장기화 될 경우 중국 정부가 협상을 지연 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완화 시킴. 이 결과 주식시장은 상승폭을 확대하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으며, 미 국채금리 또한 상승

 

 

 

 

한국 주식시장 전망

제한적인 상승 예상

 

MSCI 한국 지수 ETF 는 0.96% MSCI 신흥 지수 ETF 는 0.05% 하락했다. 야간선물은 외국인이 234 계약 순매수 하자 0.45pt 상승한 275.00pt 로 마감 했다. NDF 달러/원 환율 1 개월물은 1,198.85 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1 원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미 증시가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트럼프의 발언에 힘입어 상승 했다. 이는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트럼프가 스몰딜에서 빅딜로 변심하며 우려가 높아졌으나, 오늘 언급된 ‘조기 협상 타결’ 가능성이 투자심리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탄핵 이슈가 장기화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은 부담이다. 비록 녹취록에서는 명시적으로 수사압박은 없었지만, 외압으로 해석될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탄핵 이슈가 장기화 될 경우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더불어 미국의 인프라 투자, 약가 인하 등 주요 경제 정책의 처리가 지연 될 수 있다는 점도 배제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미 증시가 트럼프의 무역협상 관련 ‘조기 합의’ 가능성 언급에도 불구하고 상승폭이 크지 않았다.

 

물론 반도체 및 소비재 등이 강세를 보이며 시장은 탄핵이슈에서 무역협상으로 전환 되었기 때문에 한국 증시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 더불어 블라드 세인트 루이스 연은 총재가 추가 금리인하를 주장하고,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가 QE 확대가 필요하다고 언급 하는 등 연준의 온건한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점도 긍정적이다. 다만, 달러 강세에 따른 외국인의 매물 출회 가능성이 있어 상승폭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한다.

 

 

1600명이 구독하는

미치도록 빠른 투자정보

#여의도정보통

http://bit.ly/2K5Ao4j

 

💯여의도정보통📈

🔺실시간 증권가 투자정보 찌라시🔺

t.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