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 📊

<F&F 종목분석> 3분기 브랜드별 동향 파악/ 목표주가 상향!

 

#주식투자 #종목분석 #관련주 #투자정보

 

F&F에 대한

더 자세한 투자정보

여의도정보통을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무료로 신속하고 핵심적인 투자정보를 제공해드립니다

 

실시간 찌라시도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미치게 빠른 투자정보

#여의도정보통

http://bit.ly/2K5Ao4j

 

💯여의도정보통📈

🔺실시간 증권가 투자정보 찌라시🔺

t.me

 

 

- 3분기 브랜드별 동향

 

1. 디스커버리

. 7~8월 2분기 누적성장률 유지

. 신발: 7월 판매량은 2분기 월 평균 보다 약간 낮아짐(약 1만족)

. 원인: 2분기 버킷디워커Air(여름용) 이후 신제품 없었음. F/W 신상품 9월부터 순차 출시 예정

. 연간 신발 비중 10% 이상 목표(MLB+디스커버리)

. 의류 매출성장률 하이싱글 예상

. 백화점 아웃도어 조닝 브랜드 매출 1위

 

2. MLB

. 7~8월 면세채널: 2분기 매출 추세 유지(3분기 면세 비중 60% 예상)

.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 하고 있음(중국 티몰 일 매출 슬로우한 이유)

. 7~8월 비면세채널: 두 자리 수 이상 매출성장(2분기 채널성장률만큼)

. 매장 수: 현재 면세 160개. 하반기 면세 출점 X

. 신발: 7월 판매량 2분기 월 판매 추세 유지

 

3. MLB키즈

. MLB 매출 추세 유사

. 카테고리별 비중: 모자/신발/가방 30% : 의류 70%

. 매장 수: 오프라인 매장 111개 중 면세점 11개(샵앤샵 포함)

. 2분기 누적 면세채널 비중 25%

 

4. 스트레치엔젤스

. 7~8월 매출 2분기 보다 낮아지는 모습(2분기 파니니백 인기 호조-여름용 디자인)

. 하반기 순차적 F/W 신제품 출시 예정

. 하반기 신규 면세 출점 X

. 매장 수: 오프라인 총 9개 중 면세점 6개

 

5. 홍콩/대만/마카오

. 19년 홍콩 매출 40~50% 성장 예상

. 홍콩 시위 영향: 홍콩 5개점 중 시위권 점포 1~2개. 영향 없지 않으나 기타 매장 매출호조로 연간 40% 성장 가능 판단

. 하반기 홍콩 신규 출점 2개 예정, MLB키즈도 홍콩 단독매장 오픈 예정이나 시위 때문에 시기 조율 중

. 마카오/대만 매출 견조 . 국가별 점당 매출 규모: 마카오(2개점/일매출 2~3천만원)> 홍콩> 대만(3개점/낮은 소득수준/일매출 1천만원 이하) 

 

6. 듀베티카

. 19년 BEP 예상 . 유럽향 70%, 일부 일본 7. 중국(티몰 등)

. 티몰: 현재까지 보수적으로 20억원 이상 매출 달성

. 오프라인 매장: 12월 상해 영업 매장 2개 오픈 예상(쇼핑몰 1개, 백화점 1개점)

. 온라인 추가 채널 확대 시기 미정, 플래그십 스토어 확장은 임차료 문제로 약간 지연

. 엠엘비 키즈 하반기 티몰 입점 예상

. 요후드(YOHOOD) 행사 효과(8/28~9/1): 스트릿패션 대전. 행사기간 일매출 1억원 이상 파악

 

8. 신발 공급 물량 부족 이슈

. 신발: 베트남 생산 100%, 의류: 3개국 비중 비슷(한국 제일 적음)

, 모자: 한국 90%, 베트남 10%

. 카테고리별: 신발 물량 가장 부족, 모노그램 가방/모자 공급량 타이트

. 공급이 수요 추세를 못 따라가고 있음(티몰 일매출 슬로우했던 이유)

 

9. 면세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

. 18년말 기준 모자 비중 90%, 현재 50%까지 낮아짐

. 브랜드가치 확장되며 신규 카테고리(모자/가방/의류)까지 매출 선순환 이루어지고 있음

 

10. 2020년 사업 계획

. 베트남법인 2020년 설립(홀세일, 생산관련 효율 위해), 비용 들어간다면 중국일 것

. 각 사업부/브랜드별 카테고리 모두 고른 성장 목표(디스커버리 가방/의류/신발, 엠엘비 중국 등)

 

11. 신규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폴 등(기존 아시아 9개국 라이선스권 보유 국가)

 

투자판단

- 각 브랜드 가치 확장 및 인지도 제고되며 신규 카테고리(가방/신발/의류) 매출 고성장 긍정적

- 2분기 실적 통해 고단가 카테고리(신발 등)의 규모의 경제 효과 가시화 확인

- 해외시장 확대 모멘텀 불구 12MF PER 11배 수준, 비중 확대 유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