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 📊

<동성화인텍> LNG의 높은 파도에 올라탈 적기

주식투자 관련주 테마주 시황분석

 

장중에는 텔레그램에서 실시간으로 투자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주식시황과 투자속보, 찌라시 등

주식투자에 필요한 투자정보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여의도정보통

https://band.us/n/ada21964G4i51

 

'여의도정보통' 밴드에 초대합니다.

여의도 증권가의 찌라시와 투자정보를 누구보다 빨리 여러분께 전달해드립니다

band.us


#동성화인텍

 

기업개요: LNG 초저온보냉재 전문기업

동성화인텍은 폴리우레탄 (PU) 기반의 l_NG선박용 초저온보냉재 전문 제조 기업이다. MARK III 타입 나K3선박의 초저온보냉재 시장은 동성화인텍과 한국카본이 글로벌 시장을 과점하고 있다. 이는 국내 조선사들의 압도적인 l_NG선 시장점유율 영향이 크다. MARK III 타입의 LNG 운송선은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Fnguide 컨센서스 기준 2019년 매출액은 2,612억원 (+38.86% YoY), 영업이익은 211억원 (혹자전환)이다. 2020년에는 2019년 대비 매출액 +18.61%, 영업이익 +44.08%의 큰 폭

성장올 예상하고 있다. 국내 조선사들의 1_NG선 수주 소식이 전파를 타면, 동성화인텍에 대한 시장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체크 포인트:

1) LNG선 수주 확대 시 수척I 2) 우호적인 보냉재 기술 변화

우호적인 LNG선 업황 전개에 따른 동성화인텍의 수혜 가능성에 주목한다. 1) LNG선 발주 증가

시 국내 조선사의 기술력과 수주 경쟁력올 감안하면, 동성화인텍 역시 초저온보냉재의 수주 및 매출 증가의 선순환 구조가 기대된다. 현재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 카타르 LNG 운반선, 려시아 야말 프로젝트 등과 관련하여 국내 조선사들의 LNG 수주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2) 폴리우레탄 보냉재 기술이 수주환경에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BOR (Boil Off Rate: LNG

운반 시 자연 기화율)을 낮추는 데 유리한 폴리우레탄의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B0R 값을

낮추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변화하고 있다. 폴리우레탄 재택율 상승과 두께 증가로 폴리우레탄 보냉재 공급량의 증가가 기대된다.

 

리스크 요인

1) 높은 재무 레버리지

2) 매크로 환경에 민감

1) 높은 재무 레버리지로 인해 업황 사이클에 실적 민감도가 높다. 업황 사이클에 따른 실적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 2) 대규모 LNG 프로젝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매크로 및 정치/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민감하다. 실적 연관성이 높은 원재료 가격과 환율 영향도 체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