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 📊

<나무가> ToF 모멘텀은 이제 시작

주식투자 관련주 테마주 시황분석

 

장중에는 텔레그램에서 실시간으로 투자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주식시황과 투자속보, 찌라시 등

주식투자에 필요한 투자정보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여의도정보통

https://band.us/n/a2ab1c5d50W1T

 

'여의도정보통' 밴드에 초대합니다.

여의도 증권가의 찌라시와 투자정보를 누구보다 빨리 여러분께 전달해드립니다

band.us

 


 

WHATS THE STORY

ToF 모듈 매출 임박: 동사가 오랜 시간 기술을 축적해 온 3D센싱의 매출 성장이 임박했

다고 생각한다. 동사의 ToF 모듈이 주요 고객사 플래그십에 채용되면서 플래그십 모

델로는 첫 진출이 기대된다. 모바일용 ToF 모듈은 초창기 시장으로서 해상도가 높아

지고,두께가 얇아지면서 판가 방어가 용이하며,애플 아이폰이 ToF 모듈을 채용할 때까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의 공격적인 도입 분위기가 이어질 것이라 예상한다.

우리는 고객사 내 메인 공급사로서 동사의 2019년과 2020년 ToF 모듈 매출을 각각

910억원,4,300억원으로 추정한다.

 

3D 카메라의 매출처 다변화: 동사는 오랜 시간 인텔과 협업하며 다양한 분야를 위한

3D 카메라를 개발,생산하였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2019년에는 로봇 청소기용,

자동차용 3D 카메라로 매출처를 다변화할 예정이다. 동사는 구조광 방식(Structured light), 입체경 방식 (Stereoscope), ToF 방식 (Time of Flight) 등 다양한 구조의 모듈 양산 경험이 있기 때문에 VR/AR 시대의 돌입과 함께 모바일을 벗어난 사용처 다변화가

기대된다.

 

카메라모듈 수익성 리스크: J시리즈향 물량 감소와 판가 정체로 동사의 카메라 모듈은 2년간 적자를 기록하였다. 최근 삼성전자의 과감한 멀티카메라 채용 전략과 함께

2019년에는 동사의 매출과 수익성이 회복 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최근 삼성 중저가 스

마트폰의 부품 재료비 부담은 동사의 수익성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성장주: 고객사의 빠른 ToF 도입 목표 속에 동사가 월 3-4백만대 대규모단일 품종의 생산 수율을 빠르게 안정화하는 것,그리고 경쟁사가 얼마나 빠르 게 진입하는가가 동사 성장의 중요한 변수이다. 1Q20에 이러한 변수들이 구체적으로 확인되고 나면,큰 폭의 이익 성장에 걸림돌은 없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