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에 대한
더 자세한 투자정보를 원하신다면
여의도정보통을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무료로 신속하고 핵심적인 투자정보를 제공해드립니다
또한 실시간으로 찌라시도 업데이트 되고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미치게 빠른 투자정보
#여의도정보통
💯여의도정보통📈
🔺실시간 증권가 투자정보 찌라시🔺
t.me
미 증시, 트럼프와 라가르드 발언으로 상승
트럼프, “중국과 대화가 예정되어 있다”
미 증시 상승 요인: 미-중 무역협상 재개 기대, ECB 공격적인 완화정책 시사
미 증시는 트럼프가 중국과 “오늘 다른 레밸의 대화가 예정되어 있다”라고 주장하며 협상이 시작되었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자 상승 출발. 더불어 중국 정부 또한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반대한다” 라고 주장한 점도 긍정적. 한편, 차기 ECB 총재인 라가르드가 온건한 통화정책을 시사한 점도 우호적. 이 영향으로 미국 장단기 금리역전 현상이 장중 완화되자 금융주 및 기술주가 상승 주도(다우 +1.25%, 나스닥 +1.48%, S&P500 +1.27%, 러셀 2000 +1.63%)
미 증시는 최근 불거졌던 여러 불확실성이 완화된 데 힘입어 상승. 미국과 중국간 무역분쟁의 경우 트럼프가 “이날
다른 레벨에서 대화가 예정되어 있다” 라고 주장하자 우려가 완화되는 경향을 보임. 중국 정부 또한 상무부가 “미국과의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반대하고, 평화적인 태도로 해결되기를 원한다” 라고 발표하는 등 미국과 중국 정부 모두 대화를 통한 협상을 시사하는 등 긍정적인 발표. 더불어 미국의 대두를 중국이 지속적으로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다는 미 농무부의 발표 또한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를 높임.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의 국채금리가 상승하며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장중 완화되는 등 위험자산 선호심리 부각.
여기에 유럽에서도 긍정적인 소식이 나옴. 현 IMF 총재이자 차기 ECB 총재인 라가르드는 “가까운 미래에 금리인하를 비롯해 ‘매우’ 완화적인 통화정책 유지가 필요하다” 라고 주장하며 공격적인 부양정책을 시사. 다만, 장중 잠시 주식시장이 흔들린 요인인 크노트 ECB 위원이 “QE 가 필요하지 않다” 라고 주장했으나, 시장은 라가르드 총재의 발언에 주목. 더불어 이탈리아의 새로운 연립 정부 승인 소식도 정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등 부정적인 요인들이 개선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부분은 시장 참여자들이 ①미-중 무역협상 대화의 지속과, ②각국 중앙은행들의 온건한 통화정책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음. 향후 주식시장의 움직임도 두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
그렇기 때문에 9 월 1 일 미-중 간 관세 발효도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이보다 대화 지속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관련 우려는 영향이 제한 될 수 있음
한국 주식시장 전망
불확실성 완화에 힘입어 1,950pt 도전 전망
MSCI 한국 지수 ETF 는 0.69% MSCI 신흥 지수 ETF 는 1.12% 상승 했다. 야간선물은 외국인이 2,613 계약 순매수 한 가운데 2.40pt 상승한 256.60pt 로 마감 했다. NDF 달러/원 환율 1 개월물은 1,208.45 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9 원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미 증시는 여러 불확실성이 완화된 데 힘입어 상승 했다. 특히 미-중 무역협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 트럼프의 발언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더불어 ECB 의 공격적인 부양정책을 시사한 라가르드의 발언 또한 우호적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부분은 글로벌 주식시장이 트럼프의 잘못된 발언으로 하락하기도 하지만, 과거와 달리 큰 충격을 받는 모습은 아니라는 점이다. 지난 23 일 미 증시가 비록 3% 하락 했으나, 당시 오후에 1.5% 더 하락한 요인은 미-중 무역협상 취소 우려가 부각된 데 따른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난 주말 트럼프가 협상 지속을 시사하자 관세 발효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승한 점은 주목할만 하다. 결국 주식시장은 ‘대화 지속’에 더 중점을 두고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이를 감안 중국 상무부의 온건한 대화 언급과 트럼프의 협상 지속 발표는 한국 증시에 긍정적이다.
더불어 23 일 파월 연준의장의 발언이 비록 시장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7 월 FOMC 기자회견 당시보다는 비둘기적인 발언이었다는 점에 기대 상승 전환에 성공했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주식시장은 각국의 온건한 통화정책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라가르드 차기 ECB 총재의 공격적인 통화정책 시사 등도 투자심리 개선에 우호적이다. 결국 한국 증시는 비록 미-중 무역관세 부과를 앞두고 있으나 미국과 중국간 대화 지속 및 각국 중앙은행의 온건한 통화정책에 기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
'주식투자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진테크> 종목분석/ 반도체 장비도 국산화 확대 (0) | 2019.08.30 |
---|---|
<아이센스> 종목분석/ 드디어! 중국공장 판매 허가 획득 (0) | 2019.08.30 |
8/30 모닝뉴스 체크 (0) | 2019.08.30 |
대법원 이재용, 말3필 34억원·영재센터 16억원 모두 뇌물 인정 (0) | 2019.08.29 |
<에스티아이> 종목분석/ 최근 리포트 3개 모음 (0) | 2019.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