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정보통 리포트] #스마트폰 관련주 #삼성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 스마트폰 패러다임 변화, 삼성전자가 주도
스마트폰 업종 투자의견 비중확대(Overweight) 유지
- 2025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가 점유율 1위로 부상, 삼성전자와 애플은 2위, 3위로 하락한 가운데 중국 업체는 전체적으로 53~57%를 차지할 전망. 2019년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심화, 화웨이와 부품 및 판매에 규제가 지속될 경우에 2019년 화웨이 스마트폰 판매량 부진, 삼성 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반사이익을 단기적으로 예상
- 5G 폰 및 폴더블폰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교체 수요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2020년 (+)성 장으로 전환, 2023년까지 성장 지속. 2024년~2025년 5G폰 교체 수요 마무리로 (-) 성장 예상
- 2020년~2023년 5G폰 및 폴더블폰 중심으로 교체 수요에서 삼성전자, 애플이 브랜드 및 기술력 우위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성장을 주도할 전망
- 삼성전자, 애플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증가 과정에서 #삼성전자 #대덕전자 #LG이노텍이 고객 사내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동반 성장 예상
- 추천종목: 삼성전기, LG이노텍, 대덕전자
2020년~2023년 5G폰, 폴더블폰 등 프리미엄 교체 수요로 삼성전자 수혜
- 2020년 5G 폰의 교체 수요 시작, 2021년~2023년 폴더블폰의 교체 및 신규 수요 예상. 삼성전자 는 5G칩 및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의 경쟁우위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1위 유지 전망. 판매 확대(점유율 경쟁)보다 수익성 제고에 초점, 믹스 효과로 수익성 개선 전망
-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는 중저가에서 프리미엄 영역으로 판매 확대, 브랜드 위상 강화로 글로벌 점유율 증가 지속, 판매 확대보다 수익성에 초점에 맞춘 전략 전환
- 애플은 5G 폰(2020년) 및 폴더블폰(2022년) 시장 진출 전망. 프리미엄 영역에서 점유율 방어와 비스마트폰 사업(액세서리, 콘텐츠 제작 등) 확대로 성장성과 수익성 확보에 노력
2025년 스마트폰 주역할의 변화 예상 : 멀티미디어 기기로 성장
1) 동영상 시청이다. 5G 서비스의 확산으로 비디오(동영상) 콘텐츠 증가, 다운로드보다 스트리밍 형태의 시청으로 스마트폰의 주역할이 변화할 전망이다. 진정한 모빌리티 역할을 수행하며 TV, 태 블릿 등 모든 디스플레이와 비디오 콘텐츠를 공유,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2) 게임 장소는 스마트폰이다. 모바일 게임도 종전의 다운로드에서 스트리밍, 네트워크 연결로 다 양한 유저(사용자)가 참여하는 형태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폴더블폰은 다양한 디자인과 크기로 게임에 적합한 스마트폰 출시, 게임 사용이 스마트폰에 집중화될 것으로 본다.
3) 스마트폰을 통한 온라인 쇼핑이 증가한다. 5G 서비스 확산은 데이터 전송의 고속과 다양한 형 태의 광고 콘텐츠 증가, 그리고 빅데이터를 이용한 AI(인공지능) 형태 쇼핑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오프라인에서 구매보다 모바일과 AI의 비교 분석을 통한 최종 솔루션 형태 증가, 모바일 결제 및 핀테크 기술 발전으로 온라인 쇼핑이 이전대비 간결해질 것이다.
4) 태블릿PC, 노트북 영역을 일부 대체한다. 폴더블폰의 시장 개화는 플렉서블 기술 발전, 제조업 체 차별화 전략으로 다양한 폴더블폰 및 폴더블 기기가 등장할 전망이다. 폴더블폰의 대화면과 다 기능 추가로 태블릿PC와 노트북 10인치 초반 영역을 흡수하여 새로운 성장을 예상한다.